본문 바로가기

문화 위로 걷다/기자 명함 내세운

언론 때문에 공포 대상이 된 코로나19 백신

"작년 백신 접종 후 7일 내 노인 사망 1500명"

2020년 10월 조선일보가 낸 기사 제목이다. 코로나19 백신 이야기가 아니라 독감 백신 이야기다. 기사 곳곳에 '독감 백신 접종과 사망 간 인과관계와 무관'이라는 내용을 넣어놨지만 누가 봐도 독감 백신 접종을 비난하기 위한 고의적 기사다.​

당시 박능후 보건복지부 장관이 "70세 노인 사망자 20만 4000명 중 절반 이상이 백신을 접종했다"라며 "좀 더 면밀하게 과학적으로 백신과 사망 원인이 어떤 직접적 관련성이 있는지 국민들께 알려드리겠다"라고 발표했을 정도다. 언론의 셈법으로 따지만 70세 노인 사망자 중 절반이 독감 백신을 맞고 사망한 셈이다. 결국 백신 공포를 부추기고 싶은 언론의 어처구니없는 여론 몰이였던 것이다.

올해도 마찬가지다. 아스트라제네카 백신을 맞은 환자가 사망했다는 기사를 연일 대서특필한다. 물론 연과 관계는 알려진 바 없다. 국내 언론 기사만 보면 한국 정부가 어렵게 확보한 아스트라제네카 백신은 상당히 위험한 약물인 것 처럼 보인다. 

3월 8일 기준 우리나라에서 아스트라제네카 백신을 맞은 사람은 31만 1583명. 이 중 11명이 사망했다. 물론 백신과 관련성은 밝혀진 바 없다. 그러나 언론들은 너도나도 '백신 접종 후 사망'이라는 프레임을 걸고 아스트라제네카 백신이 사망 원인인 것처럼 제목 장사를 하고 있다. 상황이 이렇다 보니 "나는 아재라서 아제(AZ)는 안 맞을 거야"라는 우스갯소리까지 나오는 상황이다. ​

그런데 같은 셈법으로 따지면 화이자 백신이 더 위험하다. 올해 1월 노르웨이 보건당국이 화이자 백신을 맞은 4만 2000여 명중 33명이 숨졌다고 발표했다. 사망 비율만 보면 아스트라제네카보다 화이자 백신이 훨씬 위험하다. ​

오늘도 언론은 코로나 백신 이상 반응 숫자를 크게 내면서 백신에 대한 공포감을 조장하고 있다. 3월 10일 0시 기준으로 이상 반응 의심 신고가 누적 5786건이라고 떠든다. 그 뒤에 "이 가운데 5717건은 예방접종 후 흔히 나타날 수 있는 근육통과 두통, 발열, 메스꺼움, 구토 등의 사례"라고 한발 물러서는 입장을 보이기도 한다.​

10일 0시 기준으로 국내 백신 접종자는 총 44만6941명이다. 그렇다면 접종 후 이상 반응을 신고한 수치는 일반적인 접종 후 이상 반응을 포함해도 전체 접종자의 1% 정도 밖에 되지 않는다. 그러나 기사 제목에는 이와 같은 내용은 절대 쓰지 않는다.

우리나라 언론은 무엇 때문에 통계 오류·왜곡을 통해 국민에게 백신 접종에 대한 불안감을 심어주려 혈안이 되어 있는지 궁금하다.